최근 경향신문에 김규항씨가 칼럼을 기고하는 모양이다.


블로그의 포멧이 더 읽기 좋다.


첫번째 칼럼: 좋은 세상

...


극우독재는 ‘노동자’를 ‘근로자’로 대체함으로써 보편적 권리의식을 가진 시민으로서 노동자를 시키면 시키는 대로 일하고 주는 대로 받는 노예로서 노동자로 대체했다.


...

'노동자'란 단어에 대한 불편함. '동무'이란 단어에 대한 불편함. '인민'이란 단어에 대한 불편함. 왜?



두번째 칼럼: 왜 아이들은 독재시절 아이들보다 행복하지 않을까

...


두 현실을 요약하면 권위주의와 신자유주의라 할 수 있을 게다. 권위주의는 민주화 이전 반세기 동안의 극우독재가 남긴 것이다. 새누리당, 조·중·동을 비롯한 이른바 ‘수구 기득권 세력’이 그 주인공이며, 그들은 여전히 가능만 하다면 언론의 자유, 표현의 자유 같은 절차적 민주주의의 기본조차 되돌리거나 거스르고 싶어 한다. 신자유주의는 민주화 이후 특히 구제금융 사태 이후 한국 자본주의가 전 지구적 흐름에 편입하면서 본격화했다. 신자유주의를 통해 삼성이나 현대자동차 같은 몇몇 대기업은 국제적인 기업이 되었지만 대다수 시민의 삶은 불안정해졌다. 양극화, 정리해고, 비정규노동, 청년실업, 세계 최고의 자살률과 최저의 출산율이 그 내용들이다.


...


정권으로 보자면 권위주의는 이명박, 박근혜 정권이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는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정권 모두가 해당한다. 시민은 그에 대응한다. 이명박, 박근혜 정권을 지지한 보수적인 시민은 권위주의와 신자유주의를 모두 받아들인다. 김대중, 노무현 정권을 지지한 진보적인 시민은 권위주의는 반대하되 신자유주의는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인다.


독재자의 딸을 반대하는 진보적인 시민의 아이들이 독재자 시절 아이들보다 행복하지 않아 보이는 건 결국 그래서다. 진보적인 시민들은 체벌이나 억압적 교육 같은 권위주의 교육엔 단호히 반대하지만, 아이가 학원을 돌며 시들어가는 신자유주의 교육 상황은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인다. 그들의 모습은 체벌과 억압적 교육을 ‘어쩔 수 없는 현실’이라 말하던 독재자 시절 시민과 수십년의 시차를 두고 빼닮았다.


...

'신자유주의'는 어쩔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인가? 어디까지 반대하고 어디까지 저항해야 하는가.


세번째 칼럼: 지식인의 죽음과 부유하는 언론

...


우리는 참으로 간단치 않은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2008년 미국발 공황으로 30여년 동안 인류를 야만으로 몰아가던 신자유주의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그러나 자본은 문제를 해결하려 하기보다는 ‘손실은 사회화 이윤은 사유화’하는 방식으로 더 심각한 파국을 만들어가고 있다.


...

'손실은 사회화 이윤은 사유화'. 현재의 자본가의 전략을 설명하는데 이보다 더 날카로운 통찰이 있을까?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득  (4) 2013.05.28
긴 여행, 짧은 생각  (0) 2013.05.23
한국  (6) 2013.04.29
길찾기  (8) 2013.04.17
인연  (3) 2013.03.28

+ Recent posts